728x90
📊 세 코드의 비교표
코드 번호 사용 언어 출력 방식 주요 차이점
① | C | printf() | C의 표준 입출력 함수 사용 |
② | C++ | std::cout | C++의 출력 방식 사용, std:: 명시 |
③ | C++ | cout | using namespace std;로 std:: 생략 |
🔍 자세한 설명
✅ ① C 코드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 언어: C
- 출력 함수: printf()는 포맷 문자열을 사용해 출력 (\n은 줄바꿈)
- 헤더 파일: <stdio.h>는 C의 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
- 특징: 포맷 제어가 강력하지만 객체지향 기능은 없음
✅ ② C++ 코드 (std::cout 사용)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 << std::endl;
return 0;
}
- 언어: C++
- 출력 함수: std::cout은 C++의 출력 스트림 객체
- 헤더 파일: <iostream>은 C++의 입출력 라이브러리
- std:: 사용 이유: cout은 std라는 이름공간(namespace)에 속해 있어서 명시적으로 써야 함
- std::endl: 줄바꿈 + 출력 버퍼 비우기
✅ ③ C++ 코드 (using namespace std; 사용)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out << "Hello World" << endl;
return 0;
}
- 언어: C++
- 출력 함수: cout 사용 (앞에 std:: 생략 가능)
- using namespace std;: std 이름공간을 전역으로 사용하겠다는 선언
- 장점: 코드가 간결해짐
- 주의점: 큰 프로젝트에서는 이름 충돌 위험이 있어 std::를 명시하는 게 더 안전함
💡 요약하면...
- ①은 C 스타일, ②와 ③은 C++ 스타일
- C++에서는 객체지향적인 입출력 방식(cout)을 사용하고, 이름공간 개념이 추가됨
- using namespace std;는 편리하지만, 무분별하게 쓰면 코드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어
728x90
'1학년 대학 수업 > C++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주차] 예습 과제 (0) | 2025.09.05 |
---|---|
[C++ 프로그래밍 1 주차] 과제 (0) | 2025.09.04 |
[C++ 프로그래밍 1 주차] C/C++ 리터럴 종류 (0) | 2025.09.04 |
[C++ 프로그래밍 1 주차] C/C++ 많이 사용하는 예약어 (0) | 2025.09.04 |
[C++ 프로그래밍 1 주차] 세미콜론 (0) | 202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