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RDBMS

데이터 정규화 vs 비정규화 차이

hawon6691 2025. 4. 5. 19:28
728x90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중 정규화와 비정규화는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의 관리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두 개념의 차이와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정규화란 무엇인가?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과정으로, 중복 데이터를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조직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정규화는 여러 개의 테이블로 나누고, 각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강사, 수업, 수강료와 같은 정보를 여러 테이블로 나누고, 이를 복합키(composite keys)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 업데이트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예방합니다.

이미지 출처

2. 비정규화란 무엇인가?

비정규화는 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의도적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중복시키거나,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비정규화는 읽기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데이터 무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정규화의 장점과 단점

정규화의 장점에는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되고, 중복 데이터가 최소화되며, 데이터 업데이트가 용이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여러 테이블을 JOIN해야 하므로 쿼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즉, 정규화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강점을 가지나, 속도에서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이미지 출처

4. 비정규화의 장점과 단점

비정규화의 장점은 데이터 조회 시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대량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 비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읽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중복으로 인해 업데이트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5. 정규화와 비정규화의 차이점

정규화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비정규화는 데이터 조회 성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일반적으로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초기에 적용되며, 비정규화는 성능 문제가 발생할 때 고려하게 됩니다.

이미지 출처

6. 어떤 상황에서 정규화 혹은 비정규화를 선택해야 할까?

정규화는 데이터가 빈번하게 수정되거나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반면 비정규화는 데이터의 조회가 주된 목적일 때, 혹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즉,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지 출처

7. 결론 및 참고 자료

정규화와 비정규화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며, 이 두 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무결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상황에 맞는 올바른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다면 다음의 링크들을 참고해보세요: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티스토리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vs. 비정규화(반정규화) - lijly - 티스토리 (https://owlyr.tistory.com/20)

[2] velog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VS 비정규화 공부 및 정리 (https://velog.io/@mindfulness_22/%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C%A0%95%EA%B7%9C%ED%99%94-VS-%EB%B9%84%EC%A0%95%EA%B7%9C%ED%99%94-%EA%B3%B5%EB%B6%80-%EB%B0%8F-%EC%A0%95%EB%A6%AC)

[3] 티스토리 - [쉽게 설명한] 데이터베이스 비정규화, 역정규화 - BeingMyself (https://chankim.tistory.com/7)

[4] 티스토리 - DBMS - 정규화 vs 비정규화 - 심플하고 차분하게 (https://why-dev.tistory.com/279)

728x90